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램 메뉴 바로가기 푸터(고객센터 등) 바로가기

프로그램 메뉴

[163회] 2022-03-13 조회수 503

모두에게 당연한 권리

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가 우리 사회 장애인들의 인권 현주소를 집중 보도한다. 비장애인들에게는 특별한 권리로 여겨지지 않는 것들이 장애인들의 입장에선 하나하나 싸우고 쟁취해야 하는 힘겨운 투쟁의 대상이다. 참정권, 이동권, 교육권. 그 어느 하나 쉽게 장애인들의 손에 쥐어지는 것이 없다.

“장애인들도 제대로 투표하고 싶다”

얼마 전 제20대 대통령선거가 있었다. 비장애인들에게는 투표소에 가서 명단을 확인하고 투표용지를 건네받아 기표소에서 기표하는 것이 큰 어려움 없는 일이다. 그러나 불과 2년 전만 해도 많은 발달장애인들이 투표를 하기 위해 투표소를 찾았다가 되돌아가야 했다. 투표보조인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발달장애인들은 지난 2년간 힘겨운 싸움 끝에 올해 대통령선거에서 다시 투표보조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투표가 어려운 건 비단 발달장애인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시각장애인도, 청각장애인도 아직은 투표하러 가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다. 그들에게는 어떤 문제가 있는지 <스트레이트>가 동행 취재했다.

장애인을 위한 대중교통은 어디에

지난해 말부터 이어져 왔던 장애인들의 지하철 승하차 시위가 시민들의 거친 항의 속에 결국 중단됐다. 학교나 학원에 때맞춰 가기 위해서 장애인택시와 지하철, 저상버스를 한참씩 기다리며 이동해야 하는 장애인들의 현실을 들여다본다면, 그들이 시민들의 비난을 받으면서까지 왜 그토록 치열하게 시위를 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지하철 엘리베이터, 저상버스 배차간격, 장애인택시 수급문제 등 턱없이 부족한 장애인 교통 인프라를 <스트레이트>가 취재했다.

장애인도 배우고 싶다

발달장애를 겪는 학생들은 전국에 약 9만 명. 그러나 이들에게 맞춤 교육을 해 줄 수 있는 특수학교는 고작 2만7천 명을 수용할 수 있다. 나머지는 교육에서 소외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장애인을 자녀로 둔 부모들은 이중 삼중의 고통을 받고 있다. 왜 장애인 교육시설은 턱없이 부족한 것일까? 서울 강서구 서진학교의 설립 과정을 살펴보면서 무엇이 문제인지 <스트레이트>가 파악해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