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고객센터 등) 바로가기
[2455 회] 2025-03-20

1. 못생겨도 맛있다! ‘물텀벙이’의 대반전 2. 80년 전통을 잇다! MZ 입맛 사로잡은 한과 3. 풍경에 반해 전 재산 투자? 산골 부부의 봄 4. 월요일이 기다려지는 회사가 있다?!

1. [할매 식당] 못생겨도 맛있다! ‘물텀벙이’의 대반전

1984년부터 지금까지 42년째 운영 중인 식당이 있다. 바로 아귀찜과 꽃게탕을 만들고 있는 이상금 할머니(74세)의 식당이다. 젊은 시절 할머니는 할아버지와 함께 중국집을 운영했는데 장사는 잘됐지만, 직원 관리로 힘이 들었고, 사람으로 인한 상처가 커 결국 그만두게 되었단다. 이후 전북 군산이 고향인 할아버지의 권유로 1984년이 되던 해, 아귀찜 식당을 시작했다고~ 할머니가 음식을 담당하며 식당을 이끌어 오다가 30년 전 딸과 사위까지 합류했고, 그렇게 가족이 함께 식당을 운영 중이란다. 신선한 바다의 맛이 담긴 아귀찜과 꽃게탕이 할매 식당의 인기 좋은 메뉴인데, 비결은 좋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과 할머니의 손맛에 있단다. 특히 미국 대서양에서 잡자마자 냉동시킨 아귀를 공수받아 사용하는데, 깊은 대서양에서 잡은 아귀가 살이 쫀득쫀득하고 단단해 식감이 최고란다. 꽁꽁 언 아귀를 손질하는 등의 궂은일은 사위 담당, 꽃게를 손질하는 건 딸 담당, 그리고 가장 중요한 양념은 여전히 할머니 담당이라는 이곳. 오늘도 바다의 맛 가득 품은 아귀찜과 꽃게탕을 만들기 위해 온 가족이 총출동해 일하고 있는 이상금 할머니의 식당으로 함께 가보자.

2. [오늘 대(大)공개] 80년 전통을 잇다! MZ 입맛 사로잡은 한과

명절이나 제사에 빠지지 않는 우리나라 전통 과자, ‘한과!’ 몇 년 전만 해도 명절에만 볼 수 있는 과자였으나, 지금은 2030 세대와 디저트 업계에서 핫한 간식으로 떠오르고 있는데~ 강원도 강릉시의 한 공장에서는 하루에 무려 80,000개의 한과를 생산한다고! 80년이 넘는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이곳은 무려 4대째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는데, 한과 만들기 가장 첫 번째 단계는 찹쌀을 숙성한 후, 건조해 만든 반대기를 튀겨내 주는 것! 특히 튀기기 공정에서는 온도가 생명이란다. 그렇게 튀긴 후 딱딱하게 건조한 반대기를 기름에서 1차로 불려준 다음, 더 높은 온도의 기름에 넣어 튀겨준다. 수작업이다 보니 모양도 크기도 조금씩 다르지만, 최소한의 기름으로 만들어야 가장 고소하고 좋은 상태이기에 그것만은 고수하고 있다고. 튀김이 끝나고 나면 조청을 묻혀 쌀가루를 묻히는 작업이 시작된다. 튀김이 부서지지 않게 조청을 잘 발랐으면, 60도의 조청이 굳기 전에 빠르게 버무려주는 것이 핵심! 또한, 조청이 잘 식도록 열기를 완전히 빼고 바삭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업해 주는 것도 중요하단다. 바삭하지만 부드럽고, 달콤하지만, 고소한 한과는 이렇게 손맛 가득 정성으로 만들어진다. 이뿐이 아니다! 직원들이 알려주는 한과 이색적으로 맛있게 먹는 방법까지 대공개~! 단순한 과자가 아닌 세월과 정성을 담아내는 사람들을 찾아가 본다.

3. [가족이 뭐길래] 풍경에 반해 전 재산 투자? 산골 부부의 봄

전라남도 장흥의 한 오지 산골. 커다란 소나무가 여기저기 드넓게 펼쳐져 장관을 자랑하는 이 산속엔 동해 번쩍~ 서해 번쩍~ 날아다니는 남편, 최경환(62) 씨와 김문진 (52)씨가 있는데. 봄기운 가득 맞아 산골 지천에 널린 봄나물 찾는 재미에 푹 빠져있단 부부. 특히 요즘엔 표고버섯은 물론 명이나물도 한창 자라는 시기라 한시라도 바삐 움직여야 한다고. 사실 도심에서 자영업을 하던 남편. 어느 날 갑자기 연고도 없는 장흥의 산을 사겠다며 전 재산 5억 원을 몽땅 투자했다는데. 그런 남편의 꿈을 차마 매몰차게 내칠 순 없었던 아내. 평일엔 도심 낭만을 즐기고, 주말엔 산을 찾아 남편의 꿈을 응원하다 보니 아내 또한 자연스럽게 자연의 매력에 푹 빠지게 됐단다. 그래서일까. 자연에 있는 모든 곳이 부부의 놀이터. 봄엔 산나물을 찾으며 뛰어놀고, 겨울엔 눈썰매를 타며 동심으로 돌아가다 보니~ 티격태격 다퉈도 금방 화가 풀리곤 한다는 두 사람. 오늘도 자연에서 인생 일기를 써 내려가는 중이란 부부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4. [그날 후] 월요일이 기다려지는 회사가 있다?!

지난 1월, 온라인 커뮤니티에 ‘어느 중소기업의 식단’이란 제목과 함께 여러 장의 사진이 함께 게시됐다. 사진 속 메뉴들은 장어덮밥, 돈마호크 정식에 홍게 라면까지 다양했다. 이를 본 직장인들은 ‘이게 어떻게 가능하냐’, ‘대기업보다 5천 배는 잘 나오는 거 같다’, ‘점심 때문에 이직하고 싶다’ 등 반응이 뜨거웠는데. 그렇게 엄청난 비주얼의 식단을 짠 주인공은 바로 김보영 영양사!
매일 다른 메뉴를 제공하기 위해 매일 이름을 정해 메뉴를 짠다는데, 촬영 당일 메뉴는 직원들이 선택한 ‘통삼겹스테이크 정식’ 1인당 약 300~350g 정도의 통삼겹을 제공하는데, 특색을 주기 위해 만드는 방법도 다르게 선택했단다. 그녀가 선택한 방법은 ‘삶고 튀기기’!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면서도 육즙이 그대로 품어져 나와 사원들도 감탄을 금치 못했는데~ 여기에 사원들 최애인 부메뉴가 있었으니~ 고기의 느끼함을 잡아줄 매콤 볶음 우동! 색감은 물론 맛까지 식판에 디자인한 보영 씨. 거기에 숨겨진 비밀은~ 평균 재룟값이 3,900원밖에 안 든다는 것.
지금이야 메뉴가 다양하지만, 재료비를 맞추는 것이 어렵다 보니 처음엔 다양하게 만들지 못했단다. 그러다 가정을 꾸린 후 ‘내 가족이 회사에서도 맛있는 걸 먹었으면 하는 건, 사원분들의 가족도 같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보영 씨. 이후, 전국 팔도의 납품 업체들을 다니면서 금액을 조율하다 보니 지금의 메뉴를 구성할 수 있었다는데. 제2의 가족인, 사원들에게 행복감을 주고자 노력하는 그녀의 구내식당을 찾아가 보자.

플레이어 키보드 단축키를 통해 재생 중인 영상을
키보드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플레이어 키보드 단축키 설명

단축키, 기능키, 기능 정보를 제공

단축키 기능키 기능
K 스페이스바 일시정지, 재생 전환
J 왼쪽 방향키(방향키) 10초 이전으로 이동
L 오른쪽 방향키(방향키) 10초 앞으로 이동
I 위쪽 방향키(방향키) 볼륨 올리기
M 아래 방향키(방향키) 볼륨 내리기
A 백스페이스 소리 끄기, 다시 켜기
S + 재생속도 올리기
D - 재생속도 내리기

전체 회차

  • 2025